한자차용표기법(漢字借用表記法)의 이해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2-04 07:22
본문
Download : 한자차용표기법.hwp
반면에 기록된 reference(자료)를 읽을 경우를 생각하면, 음차된 한자를 읽는 것을 ‘음독’(音讀)이라 하고 훈차된 한자를 읽는 것을 ‘훈독’(訓讀 또는 釋讀)이라 할 수 있다
2.2 이두 reference(자료)의 실제(원문과 해독, 해석)
우리 민족이 어떻게 이루어졌고 그 시기는 언제인지 알 수 없다.
2.1 이두의 定義(정의), 발생, 변천
다. 받아가시는 모든분들이 좋은 점수받기 바랍니다.
Download : 한자차용표기법.hwp( 78 )
순서
한자차용표기법(漢字借用表記法)의 이해
한자차용표기법(漢字借用表記法)의 이해 연구 리포트입니다.
1.2 한자차용의 원리와 표기법
2. 이두(吏讀)
그러면 우리말을 표기하기 위하여 한자의 음과 훈을 빌린다고 했는데 그 구체적인 방법, 원리는 어떠한 것이었을까?
많은 도움되시길 바랍니다^^
인류가 언어를 처음 사용하게 된 것은, 두뇌용적이 약 1000㎤에 달하고 성문이 하강하였을 때인 약 50만 년 전이었다고 한다. 그리고 우리 국어가 언제부터 사용되었는지도 정확히는 알 수 없다. 이렇게 한자의 음과 훈을 빌려서 우리 국어를 기록한 표기법 즉, 국어를 표기하기 위하여 우리나라에서 형성된 독특한 한자 사용 방법을 한자차용표기법(漢字借用表記法)이라 한다. 다시 말하면 한자의 표음적 기능과 표의적 기능 중 하나를 택하여 우리말을 기록하게 되는데, 전자는 이미 china(중국) 에서 假借의 원리로 이용하였던 것으로서 음차자이고 후자는 우리의 독창적 방법으로서 훈차자인 것이다. 많은 도움되시길 바랍니다^^
국어, 이두, 향찰, 한자차용, 한자차용표기
1.1 한자차용표기법의 定義(정의)
한자차용표기법(漢字借用表記法)의 이해 연구 리포트입니다.
1. 한자차용표기법
1.3 한자차용표기법의 갈래
1.1 한자차용표기법의 定義(정의)
우리에게 주어진 문자가 한자밖에 없다고 가정하자. 이런 경우, 명사 ‘손’을 표기하기 위하여 한자를 빌려 올 수밖에 없는데, ‘손’이란 소리를 가진 한자 ‘孫’을 빌릴 수도 있고 ‘손’이란 뜻을 가진 한자 ‘手’를 빌릴 수도 있다 전자와 같이 한자의 음을 빌리는 것을 ‘음차’(音借)라고 하고 후자와 같이 한자의 훈을 빌리는 것을 ‘훈차’(訓借)라 한다.
레포트 > 인문,어학계열
1.2 한자차용의 원리와 표기법
1. 한자차용표기법
A+ 받은 입니다. 이 때부터 인류는 자신의 언어를 기록으로 남기고 싶은 욕망이 있었을지 모른다. 그러나 우리 민족이 우리 국어를 기록으로 남기기 시작한 것은, AD. 375년에 百濟書記를 편찬하였다는 기록과 현전하는 reference(자료)로 보면 AD. 400년을 전후한 시기부터라 할 수 있다
<출처>





설명
이 무렵의 기록들은 모두 한자(漢字)를 이용한 것이었는데 국어를 漢文[china(중국) 어]으로 기록한 것과 한자의 음(音-소리)과 훈(訓 또는 釋-뜻)을 빌려서 기록한 것이 그것이다. 받아가시는 모든분들이 좋은 점수받기 바랍니다. 그러나 문자의 성격을 띤 회화문자가 발견된 것은 지금으로부터 약 7000년 전인 BC. 5000년경으로 알려져 있다 이런 사실을 받아들인다면 인류는 오랜 세월이 지난 후에 기록에 대한 욕망을 이루었을 것이다. A+ 받은 자료입니다.